git
2 posts
[Git] 특정 계정으로 설정 or commit 하기

🧐 왜 특정 계정으로 commit 하게 되었을까? 주로 로컬에서 개발하면, 처음 git global로 설정한 계정으로 계속 commit 하게 된다. 그래서 계속 어떤 계정으로 commit 할지 고민하지 않고 git을 사용하다가, 공용 서버에서 특정 프로젝트를 내 계정으로 commit 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따라서 공용 서버에서 내가 원하는 계정으로 commit 하고 push 할 수 있는 설정을 찾아보게 되었다. ⬇️ git 계정 설정 및 1️⃣ 일회성으로 특정 계정으로 commit 하기 공용 서버에서 config 설정을 할 수 없을 경우, 일회성으로만 특정 계정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2️⃣ 특정 프로젝트에 특정 계정 사용하기 특정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 사용 3️⃣ 시스템 전체에서 특정 계정 사용하기 👁️‍🗨️ git 설정 확인 🧐 왜 특정 계정으로 commit 하게 되었을까? ⬇️ git 계정 설정 및 1️⃣ 일회성으로 특정 계정으로 commit 하기 2️⃣ 특정 프로젝트에 특정 계정 사용하…

April 21, 2022
git
window에 rsync 설치하는 방법

window에 rsync 설치하는 방법 window에서 git bash에 rsync 설치 Rsync란? 원격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툴이다. 나는 로컬에서 개발한 후 서버에 배포할 때 Rsync를 사용하려 했다. window에는 Rsync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git bash에 직접 설치해야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window git bash에 Rsync를 설치하는 건 그리 간단하지 않았다. Window git bash에서 Rsync 사용하기 전제 조건으로 Git 버전 2.28.0 이상이어야 한다. 사용법 window Git과 호환되는 rsync 패키지 다운로드하기 https://repo.msys2.org/msys/x86_64/rsync-3.2.3-1-x86_64.pkg.tar.zst 다운로드한다. rsync 패키지 압축해제하기 1에서 다운로드한 패키지는 ZStandard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rsync 패키지를 압축해제하려면 zstd를 사용해야한다. …

February 09, 2022
window
git